현대 뮤지엄 건축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현대 뮤지엄 건축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현대 뮤지엄 건축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여섯 가지 키워드로 읽기 Six Keywords to Remember

    • $9.99
    • $9.99

Publisher Description

현대건축의 실험실이 뮤지엄 건축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은 쇠락해 가던 스페인의 공업도시 빌바오의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추진되었던 재개발 정책의 일환이었다. 설계공모에서 선정된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O. Gehry)는 프리츠 랑(Fritz Lang)의 영화 〈메트로폴리스Metropolis〉(1927)에 나오는 장면들과 브랑쿠시(Constantin Brancusi)의 조각작품들, 그리고 빌바오 채석장의 이미지 등에서 생동감과 통제된 힘을 끌어내어 형태 이미지를 개념화했다. 또한 대지 주변의 고가도로와 철로 및 강둑을 뮤지엄 설계에 적극 포함시켜, 장식이 아닌 운동감을 주는 요소로서 형태와 재료를 선택했다. 움직임(movement)을 주제로 삼은 게리의 뮤지엄은 전 세계의 큰 반응을 이끌어내며 빌바오를 일약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발돋움케 했다.

뮤지엄 건축은 현대건축의 실험실이라 불릴 만큼 다채로운 모습으로 우리를 유혹하며, 구겐하임 빌바오처럼 한 도시의 이미지를 단번에 끌어올릴 만큼 건축적 위력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과거에는 뮤지엄이 명품이나 유물 등을 모시기 위한 전당(temple)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뮤지엄 전용 건물이 신축되지 않고, 오랜 기간 다른 용도의 건축물 일부를 전시공간으로 차용하거나 건물 전체를 사용해 오기도 했지만, 근대 이후 뮤지엄 건축이 활력을 띠기 시작하면서 양과 질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접어들어 현대 뮤지엄의 기능적 표현적 복잡성은 더해 갔고 건축적 형식 역시 다양하게 표현되기 시작했다. 극단적인 단순함부터 과하다 싶을 정도로 형태를 변형시키는 등 뮤지엄 건축의 내외부 공간에서 시도되는 실험들은 다른 유형의 건축물에서는 좀처럼 시도되기 어려운 것들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건축가의 눈으로 보고 읽다

건축가이기도 한 이관석 경희대 교수가 현대 뮤지엄의 건축적 특성을 건축가의 관점으로 하나씩 정리하고, 현대 건축가들의 건축철학이 뮤지엄 건축에 어떻게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물이 현대 뮤지엄 건축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구한 『현대 뮤지엄 건축』을 출간했다. 이 책이 다루는 뮤지엄의 대상은 유럽, 북중미(北中美), 일본 등 저자가 직접 방문했던 세계 유수의 박물관이나 미술관뿐만 아니라 아트센터, 갤러리, 과학관, 전시관, 기념관 등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명칭의 건축물들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국내 사례도 일부 소개하면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유물의 보존이라는 과거의 소극적인 의미를 넘어 도시의 공공장소로서 기능하는 현대 뮤지엄을, 건축적 시각에서 새롭게 체험할 것을 제안한다. 뮤지엄 건축에 어떤 근거로 상징성이 부여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동선을 분배하는 입구홀의 유형, 자연채광 방식의 종류와 장단점, 동선에 적용된 ‘건축적 산책’의 유형, 고전적 전시공간이 부활하는 현상과 이유, 그리고 오늘의 경향과 변천 추이에 이르기까지, 현대 뮤지엄 건축의 다양한 측면을 면밀히 추적하고 있다. 각 장의 핵심 과제들을 건축가들이 어떤 방식으로 풀어 가는지, 때론 상반된 관점으로 계획되는 여러 양태의 뮤지엄들이 어떻게 수용되고 의미를 갖게 되는지 등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뮤지엄 건축의 이해와 감상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된다.

여섯 가지 키워드로 접근하기

이 책은 상징성, 입구홀, 자연광, 동선, 전통, 오늘의 경향을 키워드로 삼아 현대 뮤지엄 건축에 접근하고 있다. 첫번째 장인 ‘뮤지엄의 상징성’에서는 상징과 표현방식을 통해 조용히 존재함으로써 전시물을 돋보이게 하는 중성적 뮤지엄과 방문객의 눈길을 잡아끄는 외형을 지닌 표현적 뮤지엄이라는 두 가지 경향을 짚어 본다. ‘공간적 초점으로서의 입구홀’에서는 뮤지엄에서 좀 더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는 입구홀에 주목한다. 방문객들이 뮤지엄에 들어서면서 처음 경험하는 곳인 입구홀은 뮤지엄의 내부 이미지를 결정하다시피 한다. 그래서 앙리 시리아니(Henri Ciriani)는 현대 뮤지엄의 입구홀이 뮤지엄의 ‘공간적 초점(foyer spatial)’이라고 명명했다. ‘전시공간에서의 자연광’에서는 채광방식을 측창(側窓) 채광, 고측창(高側窓) 채광, 천창(天窓) 채광으로 나누어 그 의미를 정의하고, 자연광과 관련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뮤지엄들을 채광방식별로 살펴보고 있다. 이어 각 채광방식이 지닌 장단점까지 따져 본다.

‘걷는다’는 행위와 ‘본다’는 행위가 결합되는 뮤지엄에서는 어떻게 걸으며 무엇을 보는가가 중요하다. 네번째 장인 ‘동선으로 경험하는 공간예술’에서는 계획된 경로로 방문객을 유도해 치밀하게 조율된 전체 공간을 경험하도록 하는 ‘건축적 산책’ 개념을 주요하게 다룬다. 산책의 장(場)이 되는 내외부공간 구성과 산책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공간예술로서의 뮤지엄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한다. ‘뮤지엄과 전통’에서는 1970년대 말 이후 두드러지기 시작한 고전적 전시공간의 부활 현상에 주목한다. 전시공간의 공간적 성격과 함께 전시물의 특성과 전시방법을 비교해 보여 준다. 마지막으로 ‘뮤지엄의 오늘과 내일’에서는 라이트(F. L. Wright)나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와 같은 근대건축의 거장들이 제시한 뮤지엄을 이상적인 단위전시공간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 현대 뮤지엄의 대안적 공간이나 가상 뮤지엄과 같은 사례를 통해 오늘날의 경향을 따라가 본다.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lays out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useums from an architect’s perspective and explores how the philosophy of modern architects on architecture has manifested itself in museum architecture and what the implications are of such structures and buildings on the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The book covers world-renowned museums and art museums that the author visited himself in places such as Europe, North and Central America, and Japan, and introduces art centers, galleries, science halls, exhibit halls, memorial halls, and various buildings that have similar functions but different names. Examples in Korea are also added to help readers’ understanding. On the whole, the book follows a number of keywords for approaching architecture: symbolism, entrance hall, natural light, movement route, tradition, and today’s trend.


Born in 1961, Lee Kwan Seok earned his B.A. in Architecture from Hanyang University and began working at Samsung Construction Inc., gaining experience on construction sites in Libya and Saudi Arabia. Lee later moved to France to study architectural design at Ensa de Paris Belleville, and the history of early-modern/modern architecture and museum architecture at Universite Paris 1 Pantheon-Sorbonne. With a Ph.D. in French History of Architecture and Arts, he began engaging and sharing his ideas with younger students first at Hannam University, and now at the Kyunghee University. Lee’s books include Follow the Light and Take an Architectural Walk (2004), Tour of Korea’s Modern Architecture (2006), Definition of Architecture by Le Corbusier (2011), and Le Corbusier, the Architect of Light and Space (2014).

GENRE
Arts & Entertainment
RELEASED
2016
November 17
LANGUAGE
KO
Korean
LENGTH
192
Pages
PUBLISHER
열화당
SELLER
Soojung Yi
SIZE
36.6
MB